배운 도둑질이 어디로 갈까?
KBS가 앞으로 몇 년간 더 힘들어질 것 같습니다. TV수신료를 한전 전기요금 고지서와 함께 부과하던 방식을 방송통신위원회에서 분리 징수할 것을 결정한 뒤, 아마도 KBS의 자금 상황이 많아 안 좋아질 것 같습니다. 이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시사in의 기사(시사in 823호 그때와는 또 다른 언론 장악 시나리오. 김영화 기자)를 보시면 내용을 짐작하실 수 있습니다.
KBS가 당하는 방법은 지난번 TBS가 당하는 방법과 유사합니다. 서울시 의회가 TBS에 지원하는 예산을 삭감하고는 그들이 원하는 사안들을 TBS경영진이 받아들이게 하는 방법입니다. 김어준을 좋아하던 하지 않던, 시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인정하던 하지 않던 그 어떤 사람이라도 돈을 이용한 억압은 방송을 장악하려는 방법임을 인식하고 이를 비판하는 것은 자유 언론을 보호하는 우리 헌법 정신에 비추어 타당하다고 저는 믿습니다. 우리가 족벌언론들이 일제강점기 ‘토왜 엘리트 문화’를 그대로 계승하고는 토착 왜구다운 기사가 넘쳐나도 그들을 폐쇄시키지 않은 이유와 같은 이유로 TBS와 KBS의 언론 자유는 보장되어야 하고, 언론 자유 보장을 위한 수단을 방해하는 방법은 부당하다고 저는 믿습니다. 그런데 이런 방식은 어디서 배웠을까요? 워낙 창조적인 한국인이라서 독창적인 방법일까요? 최근 읽은 책에서 역시 선진 문물에서 배웠음을 알았습니다.
“2003년 블레어 정부 장관들(어느 나라인지는 아시겠지요)은 BBC의 주요 수입원인 수신료를 전면 ‘재검토’하겠다고 은근히 위협하기 시작했다-BBC가 수신료 수입원을 잃으면 곧 쇠약해져서, 정부 보조금에 직접 의지하면서 빈번하게 위협당하는 ‘오스트레일리아 방송(ABC)’과 같은 처지가 될 것이다. 있지도 않은 사담 후세인의 대량살상무기의 위협을 신빙성 있어 보이게 하려고 정부가 증거와 정보보고서를 조작했다고 폭로했던 저널리스트 앤드류 길리건의 라디오 보도에 따르면, 민영화는 블레어의 공보비서관의 BBC 공격의 비밀 의제였던 것이 분명하다”(16쪽)
YTN을 민영화한다는 이야기가 솔솔 나오는 것도 또한 배운 것임을 알 수 있습니다. 존 필저는 오스트레일리아는 이미 경험을 한 것으로 적고 있습니다. 배운 도둑질은 쉽게 포기하지 못합니다.
“기술자들은 기술을 참을 수 없다” 영화 타짜의 대사랍니다.
'매일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망월폐견. 전우용의 시사상식 사전. 새움 간행 21 (0) | 2023.07.24 |
---|---|
나에게 거짓을 말하지 말라. 존 필저 엮음. 히스토리아 간행 3 (0) | 2023.07.23 |
나에게 거짓을 말하지 말라. 존 필저 엮음. 히스토리아 1 (0) | 2023.07.23 |
망월폐견. 전우용의 시사상식 사전. 새움 간행 20 (0) | 2023.07.21 |
망월폐견. 전우용의 시사상식 사전. 새움 간행 19 (0) | 2023.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