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소포타미아 미술이 나온 토양, 하나님도 관심을 가졌던 지역.
세계 문명의 발상지는 수렵 채집 생활을 벗어나 농업을 할 수 있는 여건이 있는 강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고 하지요. 유프라테스 강과 티그리스 강이 있는 지역을 메소포타미아 지역이라고 합니다. 세계 최초의 문명이 만들어진 곳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지금의 이란과 이라크 지역에 해당됩니다. 메소포타미아라는 말은 그리스어로 ‘두 강 사이의 땅’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그리스어, 이 언어는 지중해에 근접한 지역에 고루 영향력이 미친 언어입니다. 다 알렉산더의 지배를 받아서 그럴 것입니다. 이집트 문명은 아프리카 문명일까요? 아님 유럽 문명일까요? 유럽인들은 아프리카 문명에 속한다고 인정하지 않습니다. 그냥 이집트 문명이라고 하면서 아프리카라는 말을 회피합니다. 3000년 간의 찬란한 문명을 가진 이집트가 아프리카에 속한 나라라고 인정하기 싫은 것이지요. 마찬가지로 메소포타미아 문명을 ‘이란-이라크 문명’이라고 부르지 않는 속내도 대강 비슷한 심리일 것입니다. 최초 인류 문명의 발상지 메소포타미아는 성경의 창세기에서도 거론되는 지역입니다. 보겠습니다.
‘에덴에서 하나의 강이 흘러 동산을 적시고, 그 곳에서 강이 나뉘어 네 줄기가 되었습니다.(창세기2:10) 세 번째 강의 이름은 티그리스입니다. 이 강은 아시리아 동쪽으로 흐릅니다. 네 번째 강은 유프라테스입니다(창세기2:14)’
성경에서는 창세기(지구가 태어난 것은 45억 년 전입니다. 그때 하늘이 열리고 땅이 만들어졌을 것입니다)라고 하면서도 ‘아시리아 동쪽’이라는 지명을 씁니다. 이곳의 역사를 보면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많은 도시들 중 우루크를 아카드인이 정복하고 우르에서 제2의 전성기를 누리고(BC3600년경) BC2300년경 아카드인이 주인공인 국가가 등장합니다. 그 다음은 구바빌로니아가 이 지역의 패권을 차지하고, 이어 지금의 터키 지역에 근거지를 둔 히타이트에게 정복당한 후(BC1700년경) 이 지역이 비어 있다가(히타이트인들은 정복 후에는 그곳을 차지하지 않고 자신들의 근거지로 돌아갔다고 합니다) ‘아슈르 신’을 섬기는 사람들이란 뜻의 아시리아가 출현합니다. 창세기에서 거론하는 지명으로는 아주 최근(아무리 늘여잡아도 BC5000년경입니다)의 국가명, 또는 지역명 아니면 민족명이라는 것에 놀랍니다. 7일 만에 만드신 세계에서 아담과 이브를 창조하시고 살게 한 에덴동산이 존재했던 시대가 궁금해졌습니다. 하나님의 일을 사람이 얘기하니 앞뒤가 헝클어진 게 아닌가 의심합니다. 이야기가 옆길로 샜습니다.
메소포타미아 지역이 강에 둘러싸여 있어 토질이 좋다고 해서 농사가 잘 되는 것은 아닙니다. 강수량이 중요하지요. 이 지역은 북부의 고원지대에 비해 비가 거의 없거나, 하류 지역은 지나치게 습해 갈대만 무성한 것이 특징입니다. 그런데다 이들 강들은 건조기에는 강물이 말라 바닥을 드러내고, 비가 많으면 강물이 범람을 합니다. 결국 농사를 지을 수 있으려면 관개를 잘 해야 했습니다.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야 생존할 수 있었다는 얘기가 되겠습니다. 관개를 위한 수로를 건설하고 관리하는 건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므로 자연히 그 노동력을 체계적으로 통제하고 관리할 어마어마한 정치권력을 가진 집단이 그 역할을 수행한 것으로 짐작이 됩니다. 그렇다고 이 지역에 이집트의 파라오 같은 정치권력이 있었다는 것은 아니고, 두 강을 따라 다양한 민족이 저마다 지역의 패권을 잡으려고 경쟁하면서, 저마다 독립된 공동체로서 성격이 강했다고 합니다. 문명의 시작과 동시에 분쟁과 갈등이 생겨났다고 할 수 있고, 당연한 일이지만 이들 중 하나가 메소포타미아 지역 전체를 통일해 체계적인 국가를 이루는 단계로 나아가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수밖에 없었습니다. 실은 이렇게 특수한 정치적 배경이야말로 메소포타미아 미술의 특징을 결정한 요인 중 하나라고 양 교수는 설명합니다.
'매일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이야기 2. 양정무 지음. 사회평론 간행 1. (0) | 2022.10.27 |
---|---|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이야기 1. 양정무 지음. 사회평론 간행 5. (0) | 2022.10.24 |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이야기 1. 양정무 지음. 사회평론 출판 3. (0) | 2022.10.24 |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이야기 1. 양정무 지음. 사회평론 출판 2. (0) | 2022.10.23 |
난생 처음 한번 공부하는 미술이야기 1. 양정무 지음. 사회평론 출판 1. (1) | 2022.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