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우용 7

내 안의 역사. 전우용 지음. 푸른역사 간행 5

빼앗긴 문화재, 갖다 바친 문화재 우리나라의 골동품상이 언제 어떻게 발달했는지를 선생은 자세히 설명합니다. 전당포를 통하여 선대의 유품들을 보관했던 전당포에서 이자는커녕 물건을 도로 찾을 여유가 없는 사람들도 많아 찾아가지 않는 물건들 만을 모아 가게를 따로 차려 처분하지 않으면 안 되었던 사정을 말하면서 이것이 골동품상의 맨 처음이 됐다고 합니다. 그런 이야기들은 책을 찾아 읽으시면 좋을 것입니다. 제가 놀란 것은 우리 문화재가 강탈당하기도 했지만 선물이나 뇌물로 전달되었다는 선생의 설명이었습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일본 관리나 본토의 고관들에게 뇌물로 주어졌고, 선물이라는 이름으로 무수히 전달되었고, 중간 상인을 거쳐 바로 일본인 손에 넘어가는 것이 일반적 유통 경로였다고 합니다. 일본이 패망하고 한국이..

매일 에세이 2023.10.13

내 안의 역사. 전우용 지음. 푸른역사 간행 4

박력과 추진력의 어원을 찾는 역사 여행 추진력이란 어떤 목표를 향하여 나아가는 힘을 말합니다. 제 아버지는 추진력이라고는 없었습니다. 무슨 일을 하시든 미적지근하게 일을 하시는 바람에 옆에서 지켜보는 제가 늘 불만이었습니다.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가지 않으시는 분”으로 아버지를 평가했습니다. 남성다움이 없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저는 이런 생각을 왜 했을까요? 선생의 설명을 인용합니다. “조선 사대부들이 숭상한 정신적 가치는 ‘기개’와 ‘지조’였다. 선비는 모름지기 범인이 따를 수 없는 기상을 지녀야 했으며, 선비의 마음은 어떤 압력과 유혹에도 흔들려서는 안 됐다. 선비가 마음을 다 잡는 것이 바로 지조다.” “조선은 문치를 숭상했기에, 사대부다움이 곧 남성다움이었다. 그런데 일제강점기에 일본 제국주..

매일 에세이 2023.10.13

내 안의 역사. 전우용 지음. 푸른역사 간행 3

공동체 의식과 가부장제 윤리 오늘은 회사에 관한 역사입니다. 초창기 우리나라의 회사원은 직원이 아니라 출자자나 주주라는 뜻이었습니다. 회사의 운명에 연대 책임이나 무한 책임을 지는 사람들만 회사원이었고, 회사에 고용되어 급료는 받는 사람들은 ‘고원(雇員)’이나 ‘용인(傭人)’으로 불렸습니다. 고용인에도 여러 부류가 있어 부기나 경리 업무를 전담하는 사무원, 영업을 담당하는 외교원, 공장의 직공 등으로 나뉘었습니다. 사원이면서 회사 업무를 지휘하는 사람은 보통 ‘총무’라는 직함을 가졌습니다. 일제강점기에 회사원은 일본의 예를 따라 취체역이나 중역이라는 새 이름을 얻었습니다. 취체역이란 단속, 또는 감독이라는 업무라는 뜻이고 중역은 중요한 업무라는 뜻입니다. 사원이 중역이 되자, 사무직과 영업직 고용인이 회..

매일 에세이 2023.10.03

망월폐견. 전우용의 시사상식 사전. 새움 간행 28

역사학자 전우용, 그를 안 것은 그가 출연하는 방송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사회자가 묻는 어떤 말에도 거침없이 기원과 출처를 알려주고, 역사적 의미를 설명하면서 정확한 용례와 잘못된 용례를 드는 해박함에 놀라서 그가 쓴 책을 읽으면 나도 상식이 늘 수 있지 않을까 욕심을 부려 고른 책입니다. 개가 달을 보고 짓는다는 말인데, 달이야 원래 항상 언제나 그 시각에 그 자리에서 뜨고 지는 것인데 개가 달을 보고 짓는 것은 어떤 연유일지 궁금했습니다. 그 궁금증을 하나씩 같이 해결하는 의미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패기 선생의 글입니다. 이명박 박근혜 때 기자들이 보인 태도와 문재인 때 기자들의 그것을 비교하면서 나라 사정을 알았다고 합니다. (이명박 박근혜 때) 기자들은 사정이 나쁠 때 공손한 태도로 침묵하고, 사..

매일 에세이 2023.07.29

나에게 거짓을 말하지 말라. 존 필저 엮음. 히스토리아 1

오늘도 타당하고 내일도 옳은 저널리즘 찾기 언론은 스피커입니다. 누가 듣던 듣지 않던 계속 말을 합니다. 말이란 게 왜 천 냥 빚도 갚는다고 하잖아요. 말은 힘이 있습니다. 그러나 힘이 있는 말을 하는 사람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그렇게 많지 않았던 모양입니다. 존 필저는 오스트레일리아 출신으로 종군기자를 오랫동안 했다고 합니다. 이 책은 그가 의미를 둔 저널을 엮은 책입니다. 본인의 저널을 포함하여 21명의 기사를 엮었습니다. 이 책이 얼마나 팔렸는지 검색을 하진 않았습니다. 그러나 오늘 우리나라에 존재하는 수많은 기자들을 감안하면 베스트셀러가 되었을 것으로 믿어 의심하지 않습니다. 남을 가르치려는 사람을 꼰대라고 부른다지요. 남을 속이는 사람은 사기꾼입니다. 있는 사실을 왜곡하는 사람들은 협잡꾼입니다. ..

매일 에세이 2023.07.23

망월폐견. 전우용의 시사상식 사전. 새움 간행 17

역사학자 전우용, 그를 안 것은 그가 출연하는 방송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사회자가 묻는 어떤 말에도 거침없이 기원과 출처를 알려주고, 역사적 의미를 설명하면서 정확한 용례와 잘못된 용례를 드는 해박함에 놀라서 그가 쓴 책을 읽으면 나도 상식이 늘 수 있지 않을까 욕심을 부려 고른 책입니다. 개가 달을 보고 짓는다는 말인데, 달이야 원래 항상 언제나 그 시각에 그 자리에서 뜨고 지는 것인데 개가 달을 보고 짓는 것은 어떤 연유일지 궁금했습니다. 그 궁금증을 하나씩 같이 해결하는 의미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미네소타프로젝트 “나라에서 책값 한 번 보태 준 적 있냐?” “미국에 가서 의사 하겠다”는 말을 하던 사람들은 젊은 의사와 의학도들이었습니다. 의사들의 자기 이익만 주장하는 젊은 의사와 의학도가 많습니다...

매일 에세이 2023.07.19

망월폐견. 전우용의 시사상식 사전. 새움출판사 간행 1

역사학자 전우용, 그를 안 것은 그가 출연하는 방송 때문입니다. 사회자가 묻는 어떤 말에도 거침없이 기원과 출처를 알려주고, 역사적 의미를 설명하면서 정확한 용례와 잘못된 용례를 드는 해박함에 놀라서 그가 쓴 책을 읽으면 나도 상식이 늘 수 있지 않을까 욕심을 부려 고른 책입니다. 개가 달을 보고 짓는다는 말인데, 달이야 원래 항상 언제나 그 시각에 그 자리에서 뜨고 지는 것인데 개가 달을 보고 짓는 것은 어떤 연유일지 궁금했습니다. 그 궁금증을 하나씩 같이 해결하는 의미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가정(假定) 역사에는 가정이 있을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자주 쓰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말입니다. “그때 일본의 식민지가 되지 않았다면 한국인들은 아직도 양반 상놈 따지며 황제 폐하 만세나 부르고 ..

매일 에세이 2023.0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