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텔링 2

서사의 위기. 한병철 지음. 최지수 옮김. 다산초당 간행

책의 제목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할 듯합니다. 서사, 즉 이야기란 무엇인가? 서사는 스토리와는 무엇이 다른가? 스토리텔링은 이야기하기와 무엇이 다른가? 정보와 이야기는 무슨 차이가 있는가?   스마트한 지배에 예속되어 억압도, 저항도 없이 삶을 게시하고 공유하고 좋아하도록 지배당한다고 하면서 새롭고 자극적인 뉴스거리가 넘쳐나는 시대, 이슈에서 이슈로 빠르게 이동하는 사람들, 스스로 자기 존재를 정보로 전락시키는 사회에서 개인은 각자의 이야기, 즉 서사를 잃고 우연성에 휩싸인 채 폭풍우 한가운데서 부유한다며 저자는 현실을 비판합니다. 정보 과잉 사회는 스토리텔링을 외치지만 자신의 이야기를 전시하듯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찰나의 장면들을 끊임없이 공유하고 공감 버튼을 누르지만 그 안에 의미는 없다며 이는 사라..

매일 에세이 2024.05.08

셀피, 윌 스토 지음, 이현경 옮김, 글항아리 출간(4)

셀피, 윌 스토 지음, 이현경 옮김, 글항아리 출간(4) 부족으로서의 자아, 완벽할 수 있는 자아, 착한 자아 지난 글에서 자아가 어떻게 작용하여 생성되는가에 대한 자연과학적인 연구결과를 인용하였다. 이제 저자는 뇌를 가진 인간의 지각 능력 외에 사회 구성원에 의해 습득, 공유, 전달되는 행위 양식을 말하는 문화적인 과정을 소개하기 시작한다. 저자는 21세기를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자아라고 정리한다. 완벽주의 자아가 어떻게 형성되었는가를 정리해본다. 우리는 부족적이다. 우리는 지위와 서열에 집착한다. 이는 침팬지 무리와 마찬가지이다. 침팬지도 다른 부족들을 공격하기 위하여 하나로 뭉치기는 인간과 마찬가지이다. 우리는 우리가 속한 내집단에 편향되어 있으며 다른 이들에 대해서도 편견을 가지고 있다. 이는 무의..

매일 에세이 2022.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