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수들의 주장은 구체적입니다. 비판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토론 프로그램을 보거나 자신의 주장을 펴는 책을 읽으면 표현이 두리뭉실하거나 주장이 모호한 경우를 보게 됩니다. 상대방의 주장을 경청하여 주장의 핵심을 이해하고 그 주장의 모순되는 부분이나 결함이 있는 부분에 대한 비판을 하는 과정은 고수일수록 정확합니다. 이런 경우 우리는 그 토론의 주제가 정치이든, 문명이든 철학이든 세상사이든 가리지 않고 재미를 느끼고 빠져들게 됩니다. 제가 행복하다고 느낄 때, 삶의 객관적 행복 조건을 충족한 것일까요? 아니면 주관적 만족감을 제 기준에 맞춰 느끼는 것일까요? 행복이 심리학이나 정신분석학의 연구대상이라면 나름의 과학적 논거가 있어야 할 것입니다. 그러므로 이 부분의 토론이나 주장은 과학적이어야 하고, 당연히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