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롱뽕 2

치매의 거의 모든 기록. 웬디 미첼, 아나 외튼. 조진경. 문예춘추사 8

잊어버렸던 아내의 요양보호사 국가자격증 “환자들이 치매 진단에 대하여 느끼는 방식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것이 전문가들의 태도라는 사실에 많은 치매 환자가 동의하고 있다.” (227쪽) 저자는 자신이 진단을 받은 뒤 6년이 흐른 지금도 전문가들의 말은 예나 지금이나 별로 바뀌지 않았다고 합니다. 오히려 치매 환자들은 의사나 간호사들보다 더 많은 지식을 갖게 된 것 같다고 하면서 자기가 더 이상 검사도 받지 않는 이유라고 합니다. 병은 악화되었는데 할 수 있는 일은 없다는 말을 누가 듣고 싶겠는가 항변합니다. “할 수 있는 게 없어요. 그냥 우리의 말에 따르면서 마지막을 준비하세요.” 이 말을 들으려 병원을 가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느냐는 항변입니다. 저자는 주관적인 생각이라면서 전문가들이 우리에게 어떤 ..

매일 에세이 2023.05.20

마흔의 문장들, 유지현 지음, 타인의사유 간행 4.

배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저자 유지현은 정신의학자이자 호스피스 운동의 선구자였던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의 살고, 사랑하고, 웃고, 배우라는 문장을 만났다면서 저자의 삶이 행복하지 않았던 이유, 잃어버린 퍼즐 조각, 행복의 열쇠를 찾았다고 생각했답니다. 자기 삶에는 ‘배움’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는 대학원에 입학원서를 냈다고 합니다. 그래서 그는 행복했을까요? 이렇게 책도 내니까 행복할까요? 배우는 동안은 행복할 텐데 그러면 대학원의 박사 과정이 끝나면 저자의 행복의 조건인 배움은 충족된 건가요? 저자는 배웠으니 대학이나 연구소에서 계속 배우며 행복하길 바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제 생각은 조금 다릅니다.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는 행복론을 말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그저 살면서 이렇게 살면 좋겠..

매일 에세이 2022.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