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제 2

가짜 자존감 권하는 사회. 김태형 지음. 갈매나무 간행 3

중장년층의 자존감 회복 방법 중년은 자신의 인생을 재평가하는 시기입니다. 과거의 내 선택들이 잘못되었음을 깨닫게 되었을 때, 과감하게 새로운 선택을 시도할 수 있는 것은 중년기까지 가능합니다. 마지막 기회라고 할 수 있는 중년기에 이르러서도 올바른 선택을 하지 못한다면 노년기의 자존감 파멸은 피할 수 없습니다. 한국의 중년들은 자식 뒷바라지를 위해서, 무너진 자존감을 회복하기 위해서 직장을 그만둔 후에도 계속해서 돈을 벌려고 합니다. 퇴직금을 밑천 삼아 주식에 투자하거나 치킨집 같은 자영업에 뛰어듭니다. 그러나 준비가 부족한 상태에서 투자나 창업에 성공하는 비율은 대단히 낮기 때문에 돈을 불리기는커녕 평생에 걸쳐 모았던 돈을 날려버리기 일쑤입니다. 은퇴 이후의 중년들이 자존감을 회복하려면, 무엇보다 자신..

매일 에세이 2023.12.22

풍요중독사회. 김태형 지음. 한겨레출판 간행 5

풍요-화목사회로 가려면 어떻게 해요? 저자의 인식은 자본주의의 역사를 통찰하면서 확장되었습니다. 21세기는 세계가 부정의하다고 주장합니다. 인류가 굶는 경우는 식량생산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불평등하고 부정의가 판을 치고 있어서 그렇다고 합니다. 자본주의는 결코 스스로 약자에게 자원을 배분하는 체제가 아니라고 확신을 합니다. 자본주의 역사가 그것을 증명한다고 역설합니다. 자본주의가 수정을 시작한 것은 전 세계 사회주의화를 우려한 독점자본가들이 자본주의의 틀을 유지하면서 사회주의적 내용을 대폭 받아들인 때부터입니다. 1940년대~1970년대의 영국이나 북유럽 나라들이 대표적입니다. 이때 평등 수준이 높아집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독점자본가들과 민중의 힘 관계는 결정적으로 변화했습니다. 우선 독점 ..

매일 에세이 2023.1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