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살혁명: 초기불교, 소승불교
반야경의 모든 개념들을 파악하기 위하여는 제일 먼저 대승불교라는 것이 무엇이냐 하는 것부터 이해하여야 한다고 선생은 설명합니다. 우리가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대승’이라는 용어는 ‘소승’이라는 개념의 짝으로 태어난 말이 아니라고 합니다. 대승은 그 자체로서 절대적인, 어떤 새로운 불교운동을 지칭하는 말로써 태어났습니다. 대승은 문자 그대로 “큰 수레”를 의미합니다. “바라밀다”(건너간다는 뜻이 있습니다)를 전제로 해서 말한다면 차안에서 피안으로 가는 배가 큰 것은 대승이고 작은 것은 소승일 텐데, 큰 수레는 개방적인데 비해 작은 수레는 폐쇄적입니다. 대승은 버스 같은 것으로 이해하면 “더불어” 갈 수 있는 수단이고 자가용은 “선택된” 소수만이 갈 수 있는 수단입니다.
수행자들의 성격에 따라 그들이 타는 수레와 관련하여 쓰는 삼승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3종류의 수레라는 뜻이지요. 그 첫째가 성문승으로 문자 그대로 말하자면 싯달타가 말하는 소리(聲)를 실제로 들은(聞) 사람들이니까 가섭, 수보리, 가전연, 목건련 같은 불제자를 말합니다. 둘째 독각승(혹은 연각승)이라는 것은 홀로(獨) 깨닫는(覺) 사람, 즉 선생이 없이 홀로 토굴에서 수행하여 깨닫는 사람들, 12인연을 관(觀)하여 깨닫는 사람들이라는 뜻에서 연각승이라고도 합니다. 이 독각. 연각이야말로 성문 다음 단계에 오는 수행자들이었겠죠. 그다음이 보살이라는 개념인데 보살이라는 것은 보리살타의 줄임말입니다. 보리는 지혜, 깨달음의 뜻이 있고, 살타는 본질, 실체, 마음, 결의, 태아, 용기 그리고 유정(정감 있는 존재라는 뜻)을 의미하죠. 그러니까 보리살타(보살)는 “깨달음을 지향하는 사람”, “그 본질이 깨달음인 사람”을 의미합니다. 이 세 가지 부류의 사람 중에서 성문과 독각은 물론 작은 수레의 인간들이겠죠. 그렇다면 셋째 번의 보살이야말로, 보살이 타는 보살승이야말로 큰 수레가 될 것입니다. 여기서 자세한 설명은 책을 보시기로 하고 이야기는 건너뛰어 정리를 하겠습니다.
성문과 독각은 금방 부처가 되는 것이 아니라, 대각자인 싯달타가 남겨놓은 가르침에 따라 훌륭한 삶을 사는 것이 대체적인 수행방향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들은 엄격한 수행을 하다 보니 소수화되었고 고립화되었고, 범인들이 사는 세계로부터 격리되는 성향이 있었습니다. 다시 말해서 자리(自利)만을 추구했지 이타(利他)의 결과를 초래하지 못했습니다. 이러한 초기불교는 아쇼카왕 시대에 변화가 일어납니다. 아쇼카왕은, 붓다가 쿠시나가라에서 입멸한 후 그 유골을 8 부족이 나누어 8개의 불사리탑을 건립했다고 하는데, 그 8개의 불사리탑 중 하나만 남겨놓고 나머지 7개의 사리탑을 분해하여 그 유골을 재분배하여 전 인도에 8만 4천 개의 스투파(탑)를 건립했다고 합니다.
'매일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정판 아르센 뤼팽 전집 1. 모리스 르블랑 지음, 성귀수 옮김 1 (2) | 2023.08.30 |
---|---|
스무살 반야심경에 빠지다. 도올 김용옥 지음, 통나무 간행 4 (0) | 2023.08.29 |
스무살 반야심경에 빠지다. 도올 김용옥 지음, 통나무 간행 2 (0) | 2023.08.29 |
스무살 반야심경에 빠지다. 도올 김용옥 지음, 통나무 간행 1 (1) | 2023.08.29 |
노파가 있었다(There Was an Old Woman). 엘러리 퀸 지음, 김예진 옮김, 시공사 간행 (0) | 2023.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