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신 2

잡동산이 현대사 2 사회.문화. 전우용 지음. 돌베개 간행

저자는 지식이 풍부한 역사학자입니다. 저자의 지식을 얻으려 다시 책을 열었습니다. ‘전우용의 근현대 박물지’라는 부제가 있는 책입니다. 1. 훈민정음의 뜻 글로 가르치는 것이 교(敎)고, 말로 가르치는 것이 훈(訓)이며, 글을 알고 나라에 충성하는 사람이 인(人)이고, 무지렁이로 땅에 붙어사는 사람이 민(民)이라고 합니다. 훈민정음은 세종이 한자를 모르는 ‘어리석은 백성’을 위해 특별히 만든 표음문자입니다. 우리가 늘 쓰는 교훈과 인민이 어떤 의미인지 알았습니다. 2. 위인전 근대 세계의 위인들에 관한 정보는 1880년대 서양식 학교가 설립될 때부터 국내에 알려지기 시작해 신교육과 신서적 보급이 확대된 1890년대 후반쯤에는 지식인이 갖춰야 할 필수 지식 중 하나가 되었다고 합니다. 어린 시절 위인전은 ..

매일 에세이 2025.01.23

망월폐견. 전우용의 시사상식 사전. 새움출판사 간행 14

역사학자 전우용, 그를 안 것은 그가 출연하는 방송을 보았기 때문입니다. 사회자가 묻는 어떤 말에도 거침없이 기원과 출처를 알려주고, 역사적 의미를 설명하면서 정확한 용례와 잘못된 용례를 드는 해박함에 놀라서 그가 쓴 책을 읽으면 나도 상식이 늘 수 있지 않을까 욕심을 부려 고른 책입니다. 개가 달을 보고 짓는다는 말인데, 달이야 원래 항상 언제나 그 시각에 그 자리에서 뜨고 지는 것인데 개가 달을 보고 짓는 것은 어떤 연유일지 궁금했습니다. 그 궁금증을 하나씩 같이 해결하는 의미로 정리할 생각입니다. 내신 하급자가 상급자에게, 또는 하급 기관이 상급 기관에 보고하는 것을 상신(上申) 또는 품신(稟申)이라고 합니다. 이 중 특별히 외부에 공개해선 안 되는 것을 내신(內申)이라고 합니다. ‘내밀한 정보를 ..

매일 에세이 2023.07.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