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장: 몰입? 어떤 몰입?
몰입은 하고 있는 일에 너무 푹 빠진 나머지 모든 자아 감각을 잃은 상태, 시간이 사라진 듯한 상태, 경험 그 자체의 흐름을 탄 상태를 뜻합니다. (미하이, 85쪽) 몰입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두 연구자의 견해가 나뉩니다.
B.F. 스키너 하버드 대학 교수: 보상만 제대로 하면, 많은 동물이 자신에게 아무런 의미도 없는 복잡한 대상에 주의를 집중할 것이다. 스키너는 이 원칙으로 인간의 행동을 거의 설명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우리는 자신이 자유로운 존재라고 믿는다. 자신이 선택을 내린다고, 어디에 주의를 기울일지 결정하는 복잡한 정신을 가졌다고 믿는다. 그러나 그건 다 환상이다. 우리와 우리의 집중력은 그동안 살면서 경험한 강화훈련의 총합일 뿐이다. 스키너는 인간에게 정신이 없다고 생각했다. 사람들은 그게 무엇이든 현명한 설계자가 선택한 방식으로 재설계될 수 있다.
미하이: 몰입 상태에 빠져들기 위해 알아야 할 3가지(요약) 첫째 명확하게 정의된 목표를 선택하는 것이다. 둘째, 자신에게 의미 있는 일을 해야 한다. 셋째, 능력의 한계에 가깝지만 능력을 벗어나지는 않는 일을 하는 방법이 도움이 된다. 미하이는 ‘긍정 심리학’을 주창했다.
스키너의 관점은 영악하다고 저자는 주장하면서 인스타그램의 설계자들은 스키너의 핵심 기술을 수십억 사용자에게 적용했다고 알려줍니다.
3장 잠 못 드는 현대인, 집중하기 위해 필요한 수면
수면의 기능을 설명하면서 저자는 현대인들이 수면 시간을 줄이고, 수면을 해도 얕은 수면만을 한다고 주장합니다. 수면은 활동을 하지 않는 수동적 과정이 아니고 우리의 뇌가 낮 동안 쌓인 찌꺼기를 청소(좋은 의미의 브레인워싱)하는 적극적 과정이라며 수면의 중요한 기능을 소개합니다.
수면을 하지 않는 상태를 우리의 뇌는 비상 상황이라고 인식하며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불필요한 긴장을 하게 됩니다. 수면의 부족은 문명의 이기를 이용하여 인간이 진화한 것이 아님을 설명합니다.
이런 세상에 적응한 결과 요즈음 사람들은 긴 텍스트를 잃는 능력이 떨어지게 되었다고 설명하며 4장이 시작됩니다. 긴 텍스트를 잃는 능력이 떨어지면 소설은 수난을 겪고, 트위터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같은 소셜 미디어들이 위세를 떨치게 됩니다. 소설 대신 소셜 미디어가 제공하는 텍스트를 잃는다고 다를 게 뭐 있겠냐고 주장할 수도 있지만 소설이 주는 공감능력과 소셜 미디어의 공감능력은 현저한 차이가 있다는 주장을 저자는 합니다.
5장에서는 ‘딴생각’은 다른 형태의 집중인데 이것 역시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고 저자는 설명합니다. 저자는 네이선 스프랭(맥길 대학 신경학 및 신경외과 교수) 조너선 스몰우드(잉글랜드 요크 대학 심리학 교수)와의 인터뷰를 소개합니다.
두 사람의 주장을 3가지로 설명합니다. 첫째, ‘딴생각’ 중에 우리들은 천천히 세상을 이해한다고 설명합니다. 책을 읽을 때 우리는 분명히 개별 단어와 문장에 집중하지만, 정신의 작은 일부는 언제나 배회하고 있다고 합니다. 독서만 그런 것이 아닙니다. 삶도 그렇습니다. 딴생각을 많이 할수록 더욱 체계적인 목표를 세우고 더 창의적이며, 끈기 있는 장기적 결정을 더 잘 내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정신이 표류하면서 천천히 무의식적으로 삶을 이해하도록 내버려 둔다면 우리는 이러한 일들을 더 능숙하게 해낼 수 있다는 주장입니다.
둘째, 딴생각을 할 때 우리의 정신은 서로 다른 것들을 새로 연결하기 시작하며, 종종 이 과정에서 문제의 해결책을 떠올린다고 합니다. 창의력은 뇌에서 새로운 무언가가 등장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곳에 있었던 두 가지를 새롭게 연결하는 거라는 설명입니다.
셋째, 딴생각을 하는 동안 우리의 정신은 “머릿속 시간 여행”을 떠나 과거를 더듬고 미래를 예측하려 합니다. 정신은 눈앞의 사안만 생각해야 한다는 압박에서 자유로워지면 다음에 일어날지 모를 일들을 생각하기 시작하며, 이는 미래를 대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저자의 설명을 듣고 굳은 결심으로 잃어버리고 잊은 집중력을 회복하려고 노력할 것을 다짐합니다. 우리는 자유롭게 결심하고 의지를 가지고 실천하는 주체적 개인이니까요. 하지만 저자는 개인이 실패하는 이유를 이후 설명합니다. 그가 도둑맞았다고 주장하는 이유는 6장부터 본격적으로 설명합니다.
'매일 에세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둑 맞은 집중력 5 끝. 요한 하리 지음. 김하현 옮김. 어크로스 간행 (3) | 2025.06.24 |
---|---|
도둑 맞은 집중력 4. 요한 하리 지음. 김하현 옮김. 어크로스 간행 (0) | 2025.06.24 |
아름다워서 슬픈 말들. 권지영 시집. 달아실 간행 (4) | 2025.06.20 |
도둑 맞은 집중력 2. 요한 하리 지음. 김하현 옮김. 어크로스 간행 (0) | 2025.06.18 |
도둑 맞은 집중력 1. 요한 하리 지음. 김하현 옮김. 어크로스 간행 (1) | 2025.06.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