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행정안전부장관 2

극한 갈등(High Conflict). 아만다 리플리. 김동규 옮김. 세종서적 3.

그러면 갈등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요? 2. 갈등 촉진자 둘째는 갈등 촉진자입니다. 분쟁이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 때마다 가장 즐거워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한탄을 내뱉을 때마다 맞장구치고 아무도 생각하지 못한 잘못을 지적해주는 사람도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주변에 있으면 금방 눈에 띕니다. 눈에 띄므로 가능한 한 멀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매우 어려운 일이라고 합니다. 갈등 촉진자는 대개 내 삶에서 가장 중요한 사람일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이번 참사가 갈등으로 비화하게끔 촉진자의 역할을 하는 쪽을 확인하려면 유족들이 무엇을 원하는지를 알면 쉬울 듯합니다. 참사의 희생자들이 요구하는 것을 수용한다면 갈등은 없을 것이기에 그렇습니다. 지난 11월 22일 유족대표들이 처음 기자회견..

매일 에세이 2022.12.23

극한 갈등(High Conflict). 아만다 리플리. 김동규 옮김. 세종서적 2.

갈등의 불쏘시개 네 가지 그러면 갈등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요? 저자는 네 가지의 갈등 불쏘시개를 소개합니다. ‘갈등은 들불과 같아서 항상 같은 방향으로만 번지지는 않는다. 그중에는 흐지부지하게 끝나는 것도 있다. 또 수십 년간 속으로만 타기도 한다. 그런 차이는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 확증 편향은 매우 강력하지만, 그 자체만으로 전쟁을 촉발하지는 않는다. 왜 어떤 갈등은 마치 전염병처럼 확산하여 오랫동안 공동체 전체를 적대적인 분위기로 몰아넣는가 하면, 어떤 갈등은 쉽게 수그러드는 것일까?’(164쪽) 저자는 의문을 표시하며 갈등이 폭발하는 불쏘시개가 될 수 있는 네 가지 조건을 제시합니다. 어떤 갈등에서나 주의 깊게 지켜봐야 할 촉진 요소들이라면서요. 1. 집단의식 첫째. 집단의식입니다. 우리는 ..

매일 에세이 2022.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