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하누크 2

나에게 거짓을 말하지 마라. 존 필저 엮음. 히스토리아 7

캄보디아의 현대 역사 3 삼린 정권(1979년 - 1991년) 1978년 12월 25일, 베트남군은 망명한 캄보디아 난민으로 캄푸챠 민족구국통일전선을 조직하고 크메르 루주 장교로 베트남에 망명한 헹 삼린을 내세워 폴 포트 타도를 기치로 캄보디아에 침공했다. 1979년 1월 6일, 베트남군이 프놈펜을 공략하자, 유폐에 가까운 상태에 있던 시하누크는 다시 북경에 피신했으며, 폴 포트, 이엥 사리 등의 크메르 루주는 태국 국경 근처까지 쫓겨나게 되었다. 1월 10일 친베트남계 캄푸챠 인민공화국(People's Republic of Kampuchea)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헹 삼린이 이끄는 캄보디아 인민당 정권은 베트남의 괴뢰 정권이라는 이유로 세계 각국의 승인을 받지 못했다. 1979년 2월에는 중국군이 캄보..

매일 에세이 2023.08.08

나에게 거짓을 말하지 마라. 존 필저 엮음. 히스토리아 5

캄보디아의 조용한 죽음(1979), 존 필저. 존 필저의 캄보디아의 조용한 죽음을 읽고 있으면 캄보디아라는 먼 나라의 이야기가 갑자기 이웃의 이야기로 생생하게 들립니다. 그들이 겪은 고통을 같이 느끼게 되고 그들의 해방을 기원하게 됩니다. 캄보디아 국민이 겪은 고통의 원인을 제공한 미국에 대한 미움과 캄보디아 국민의 해방을 방해하는 외세에 대한 저항감이 생깁니다. 간혹 전해 들었던 캄보디아의 역사는 무미건조한 사실의 연속이었지만 존 필저가 말해주는 캄보디아는 우리들의 이야기이며 연대를 할 수 있는 힘을 가져야 하겠다는 소망을 갖게 하고, 소망을 이룰 현실적 힘에 대한 열망이 강해집니다. 우리나라가 선진국이 되고, 외세의 강압적인 위협에 굴복하지 않을 현실적인 힘을 기대합니다. 우선 위키백과를 통하여 캄보..

매일 에세이 2023.08.07